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한 것으로 신고된 사람이 83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백신접종이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밝혀진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지난 달 31일 질병관리청은 2020~2021 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시작한 이후 0시까지 백신 접종 후 며칠 이내에 사망한 것으로 신고된 사례가 총 8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틀 전인 지난 달 29일 0시 기준으로 집계된 숫자와 비교하면 11명이 늘어난 수치다.
사망자 83명 가운데 남성이 46명, 여성이 37명을 기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37명, 80대 이상이 34명, 60대 미만이 8명, 60대가 4명 순으로 나타났다. 70대 이상 고령층은 71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85.5%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중 72건은 역학조사 및 피해조사반 심의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11건에 대해서는 역학조사가 아직 진행중이다.
사망신고가 이뤄진 날짜를 보면 지난 달 19일까지가 1명, 19~25일 59명, 26~30일 23명 등 만 70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무료접종이 시작된 10월 셋째 주에 집중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경남, 전북, 전남, 대구에서 71.1%가 신고되기도 했다.
올해 독감백신 예방접종 누적건수는 지난 달 31일까지 약 1708만 건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독감백신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도 점차 백신 접종에 대한 오해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의학학술지 백신은 백신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게 아닌 적극적인 백신접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매년 수백만 명이 독감에 걸리고 있다. 이 때문에 수십만 명이 입원해 수만 명이 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 대상자의 절반만 백신을 맞는데 이번에는 미접종 비율이 껑충 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미국 언론도 독감 백신을 접종하라는 보도를 연이어 내보내고 있다. 특히 사이비 과학과 잘못된 정보에 흔들리기 보다는 보건당국의 전문성과 과학의 확률을 믿어야 가족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백신 접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1위라는 점에서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독감 백신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게 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