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19에 걸려도 입원할 정도로 심하게 앓는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미 플로리다 대학교 의대 연구팀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18세 이상 성인 2000여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독감 백신을 맞지 않은 코로나19 감염자는 입원할 위험이 백신 접종자보다 2.4배 커졌으며 중환자실에 들어갈 위험은 3.3배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독감 백신이 코로나19를 예방하는데 직접적으로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독감 백신을 맞으면 면역 체계가 최상의 상태가 되면서 어떤 바이러스가 침투하든 중증으로 치닫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아치 G 매이너스 교수는 “독감 백신을 맞으면 독감과 코로나19에서 일거양득의 결과를 누릴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독감 백신 접종을 독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폐렴 백신 등도 유사한 결과를 가지고 오는지 연구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백신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을 가라앉히지 위해서라도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이탈리아 연구진은 독감 백신을 맞을 경우 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를 내놓았다. 지역별 코로나 환자 통계를 분석해본 결과 독감 백신 접종률이 1% 높아질수록 코로나19 감염자가 7만8천여 명 가량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독감 백신이 코로나19를 예방한다는 인과 관계를 명확히 밝혀낸 연구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이 같은 결과는 독감 백신 접종으로 전반적인 면역기능이 강화된 결과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가정의학위원회 저널에 실렸다고 UPI통신이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는 백신에 대한 지속적인 불안감이 커지면서 방역당국이 이를 부랴부랴 해명하기에 이르렀다.
방역당국은 백신 자체로 인해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것은 아니라고 밝히며 불안하다는 이유로 백신을 뒤늦게 접종하게 되면 트윈데믹이라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독감 예방을 위해서라도 백신은 필수 접종해야 한다는 의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