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중대재해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건설업에서 사고로 사망한 사람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추락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은 1312명으로 51%, 제조업은 673명으로 26.1%, 서비스업 등 기타업종은 590명으로 22.9% 순으로 비중을 차지했다. 건설업 사망사고 가운데는 추락사고가 가장 많다. 연도에 관계없이 전체 발생 형태에서 60%를 차지했다. 종류별로는 건축공사에서 60%로 사고로 사망한 사람이 많다. 금액별로는 20억 원 미만 공사가 70%를 차지하기도 했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건설 현장은 30%가 방호장치 미설치나 불량으로 나타났다. 추락방지 조치를 하지 않고 작업해 일어난 사고가 17%에 달했다. 미설치된 방호장치는 작업발판 13.7%, 안전난간 11.7%, 추락방지망 10.1% 순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보건공단 연궝ㄴ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산재 사망사고 원인을 밝히고 예방대책을 세우기 위해 최근 3년간의 중대재해조사보고서를 분석했다. 재해발생일 기준 2016~2018년, 3년간 중대재해조사보고서 2999건을 조사했다. 요양과 일반재해 등을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보고서 업무상 사고 사망한 25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해당 보고서는 건설업을 비롯해 제조업 등 내용 등이 포함됐다. 중대재해 유형별 현황 분석 연구라는 제목으로 안전보건공단 연구원 홈페이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업안전보건공단 연구원은 “산업현장에서 여전히 재래형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공단은 추락사고를 막기 위해 건설 현장에 패트롤 방문을 늘릴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을 점검하고 재정지원을 병행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안전보건공단은 고용노동부와 함께 특별기획 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과 감독을 연말까지 강화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