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백신 공포가 확산되는 가운데 접종을 두고 고민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 22일 오전 독감 배신을 맞고 사망한 사람이 11명에 달한다. 또한 전국 곳곳에서 독감이상 반응이 보고되고 있다.
질병관리청과 감염병 및 백신 전문가는 “극소수에게서 백신의 부작용은 늘 있어 왔다”며 “올해 더욱 더 부작용이 부각돼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백신을 맞아서 얻는 것이 잃는 것보다 훨씬 많다”며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권하고 있다.
그러나 백신에 대한 공포는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백신을 맞지 않는다고 해서 해결책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독감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지난 독감 시즌 최소 3900만 명이 독감에 감염돼 2만4000여 명이 숨졌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3천~4천 명이 독감 합병증 탓에 숨지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올해 독감에 걸리면 면역력이 떨어져 코로나19에 더 취약해진다. 따라서 백신 접종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독감 백신에 대해 우려할만한 사항이 있지만 직접 인과관계가 밝혀진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2일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2명이 아나필락시스로 의심됐지만 1명은 질식사로 판명됐다”며 “또 다른 1명도 보호자가 기저질환으로 인한 병사 가능성을 얘기한 상태”라고 답했다.
독감 백신은 바이러스 균주의 활동력을 없앤 다음 계란 속에서 배양해 만들어진다. 그러다 보니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밖에 독감 백신은 발열, 근육통, 두드러기, 현기증, 메스꺼움 등의 이상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질병관리청은 2009년 이후 백신 접종 후 25명이 숨졌다고 보고됐다. 하지만 2009년 65세 여성은 눈 신경,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는 밀러-피셔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입원해 폐렴 때문에 숨진 것만 인정되기도 했다.
올해는 국가 무료 예방접종을 3가 백신에서 4가 백신으로 확대함에 따라 독감 생산량의 대부분을 저가로 선점함으로써 생산, 유통 경로가 바뀐 점이 백신 품질에 영향을 미쳤는지, 특정 국산 백신에서만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엄격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부 전문가는 경계군에 있거나 건강한 사람의 경우 조사 발표를 기다리며 백신접종을 미루고 위생에 철저히 하는게 낫다는 의견을 내기도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등 위생에 철저해 감기를 비롯한 전염병이 줄어든 만큼 코로나 방역수칙만 잘 지켜도 독감을 예방할 수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