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하루에도 여러 번 손을 씻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이제는 손씻기의 생활화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의외로 가장 더럽지만 관리가 잘 안되는 제품이 있다. 바로 스마트폰이다. 손에 들고 다니면서 하루에도 수십, 수백 번 만지는 스마트폰은 사람이 가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따라간다. 따라서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화장실에서도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니 위생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청소하고 소독하는 등 위생 상태를 잘 관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손 씻는 의미가 사라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하고 소독하는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야 한다. 스마트폰의 오염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미 애리조나대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화장실 변기 시트보다 10배 이상 많은 박테리아가 검출됐다. 2017년 6월 세균 저널에 나온 연구에 따르면 미 고교생의 스마트폰에서 1만7천개 이상의 박테리아 유전자가 발견되기도 했다. 세균은 스마트폰에서 꽤 오랫동안 생존한다. 전염병 저널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스테인리스나 플라스틱처럼 단단하고 구멍이 많지 않은 표면에는 24시간에서 최대 48시간 생존할 수 있다. 뉴잉글랜드 의학저널은 4월 코로나바이러스가 2~3일 동안 생존했다는 결과를 논문으로 실었다. 그러다 보니 스마트폰 청소와 소독은 무척 중요하다. 아무리 손을 잘 씻는다고 하더라도 스마트폰 자체가 오염돼 있다면 손씻기를 한 이유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하루에 한 번은 소독해줘야 한다.  외출할 때는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꺼내기 전에 손을 깨끗하게 닦는게 먼저다. 이후 집으로 돌아와서 손을 닦듯 스마트폰을 청소하고 소독해줘야 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을 소독하기 위해서는 도수 70% 이상 알코올을 묻혀서 닦아줘야 한다. 미 질병관리본부는 헝겊에 알코올을 묻히고 닦아주는게 좋다고 제시했다. 그렇다고 알코올을 직접 기기에 뿌리는 것은 좋지 않다. 또한 표백제나 연마제가 들어간 용액도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스마트폰 내의 때나 기름기 제거는 극세사 헝겊으로 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