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지폐나 휴대폰 화면,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표면에서 28일까지 생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전염성을 그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영국 공영방송인 BBC는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의 연구를 인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랫동안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다만 BBC는 “이번 연구는 어두운 실험실에서 실시됐다”며 “이전 연구에서는 자외선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강조했다. 몇몇 전문가는 실제 생활에서 물체의 표면을 통해 코로나19가 전염될 실질적인 위험성에 대해 회의적인 모습을 보였다. 코로나19는 대부분 기침이나 재채기, 대화를 할 때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로나19가 공기속에서 작은 입자에 의해 퍼질 수도 있다는 증거도 있다. 그러나 미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코로나19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같은 물체의 표면을 만졌을 때에도 감염될 수 있다. 이전의 실험실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지폐나 유리에서는 2~3일,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에서는 최장 6일까지 생존한다.  하지만 CSIRO의 연구에 의하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어둡고 섭씨 20도인 방에서 스마트폰 스크린과 같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지폐 같은 매끄러운 표면에서 28일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건에서 독감 바이러스는 최장 17일까지 생존한다. 이번 연구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낮은 온도보다는 더운 온도에서 살아남기가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물체의 표면에서는 40도에서 24시간 내에 감염이 멈췄다. 또한 직물과 같은 다공성 물질보다 매끄럽고 작은 구멍이 없는 물체에서 더 오래 사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물론 일부 전문가는 이번 연구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28일까지 생존할 수 있다고 제시함에 따라 대중에게 불필요한 공포심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영국 카디프대학교의 론 에클레스 교수는 “기침과 재채기, 오염된 손가락 등에 있는 점액으로 인해 물체의 표면에 바이러스가 퍼지는데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를 퍼뜨리기 위한 매개체로 신선한 인간의 점액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가 잘 생존할 수 있는 실험실 환경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손 씻기와 터치스크린 등을 정기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