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옥시토신이 신종 코로나19 치료제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는 신체가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다. 현재까지 미 FDA가 승인한 코로나19 치료제는 없다. 이에 따라 적응 면역 반응에 작용하고 코로나 19의 초기 단계에서 사이토카인 폭풍을 예방할 수 있는 기존 약품을 다시 코로나 치료제로서의 용도에 맞게 쓸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미 털리도대학교 연구팀은 미 국립보건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옥시토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약물로 치료되는 유전자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특히 카베토신이라는 한 약품이 코로나19 환자에게 사이토카인 폭풍을 유발하는 염증 지표의 발현이 감소한 유전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카베토신은 자연분만 후 출혈을 예방하는데 쓰인다. 그 결과 옥시토신과 동등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옥시토신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하나로 자궁 민무늬근과 젖샘 근섬유를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어 자궁수축제나 진통 촉진제로 쓰인다. 또한 젖 분비를 촉진하는데 사용한다. 옥시토신이 분비돼 자궁이 수축되면 출산 후 출혈 위험이 낮아진다. 또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뇌에서 생성돼 생식, 출산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옥시토신은 아기를 낳을 때 자궁 근육을 수축하고 진통을 유발한다. 이를 통해 분만이 쉽게 이뤄지게 하는 호르몬이다. 하지만 출산 시에만 분비되는 것만은 아니다. 누군가를 포옹하거나 친밀한 관계를 맺을 때 옥시토신이 분비된다. 또한 기분을 진정시키고 행복감을 느낀다. 이런 긍정적인 기본은 타인과의 유대감을 증진시켜 사랑 호르몬으로 불리고 있다.  카베토신 특성은 약이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세포라고 불리는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 카베토신 특성도 코로나19 치료제로서 연구 중인 항레트로 바이러스제인 로피나비르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팀은 “이 모든 요소는 옥시토신이 코로나19 환자의 사이토카인 폭풍에 대한 표적 치료제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며 “옥시토신이나 옥시토신 시스템이 새로운 면역 목표가 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