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54명 발생했다고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밝혔다. 휴일보다 2배 정도 많은 1만 1389건의 평일 진단 검사에서 60명 아래 확진자가 나온 형태다. 일단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지난 9일부터 3일 연휴를 보이고 있는만큼 이번 고비를 잘 넘겨야 한다. 지난 9일 0시 기준으로 54명 확진자가 새로 발생했다. 누적 확진자는 2만4476명이다. 지역감염은 38명, 해외유입은 16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7명, 경기 9명, 부산과 대전 각 5명, 충북과 전남 1명이다. 서울은 관악구 관련 확진자가 늘어 누적 환자는 11명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곳에서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9일 서울시청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추석 연휴 여파로 집단 감염이 발생하는 등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며 “수도권 확산세를 완전히 꺾어야 확실한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어 이번 연휴가 끝날 때까지 결코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특별방역기간 종료 이후인 다음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다만 하루이틀 상황을 더 지켜보고 오는 11일 중대본 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한편 코로나19 80대 이상 확진자 중 치명률은 21.36%에 달한다. 전체 치명률 1.75%와 큰 차이가 난다. 80대 이상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5명 중 1명은 사망하고 있다. 따라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가족 모임을 할 경우 식사 직전까지 마스크를 쓰고 침방울이 튀는 것을 조심하는 등 각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코로나19의 대표적인 고위험군인 고령층의 경우 코로나 감염 시 중증 이상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다. 방역당국은 고령층 대상으로 방역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이상원 방대본 위기대응분석관은 지난 8일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코로나19의 경우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치명률이 두드러지게 올라간다는 점이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층에 대해서 더욱 강화된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어르신이 계신 요양시설이나 감염에 취약한 시설에 대해서 선제적인 검사를 더 많이 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