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오후부터 만 12세 이하와 임산부에 대한 독감 백신 무료 예방접종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유통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돼 지난 22일부터 독감 무료접종 중단 사태가 일어났다. 현재 이 백신을 맞은 사람은 100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부터 시작된 독감 예방접종에 사용되는 백신은 상온 노출 사고를 낸 신성약품이 유통하는 물량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정부 공급 물량이 아니라 의료기관이 개별 구매한 백신이다. 의료 기관이 추후 정부에 비용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상온에 노출된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은 105명이다”며 “아직 이상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13~18세 연령대 일부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청장은 “이 같은 사실을 해당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 알리고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모든 백신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과도한 불안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합동 현장 조사를 통해 콜드체인이 유지됐는지 중점 확인하고 있다. 냉장 차량의 자동온도 기록 장치와 운송시간 자료 등을 확보해 분석한다. 당시 백신 보관 냉동창고는 기준 온도인 섭씨 4~6도를 유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상온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5개 지역 750개 백신에 대해 진행하고 있다. 검사 기간은 2주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한편 질병관리청의 이러한 브리핑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특히 전북 전주시는 브리핑 이후 전주에서만 179명이 해당 백신을 맞았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에 의해 무료접종 중단이 고지됐지만 그 사이 일부 병의원과 보건소에서 이미 문제 업체로부터 배송받은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이 맞은 백신이 상온 노출이 의심되는 백신이 포함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 청장은 “독감 백신이 일회용으로 주사기에 충전돼 밀봉 상태로 공급된다”며 “오염 가능성은 굉장히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신성약품이 유통시킨 백신 가운데 상온 노출이 의심되는 5개 지역 배송 백신을 검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품질 변화 가능성은 낮지만 백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는 의견을 받고 확인중에 있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12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