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걸렸다 회복되더라고 후유증은 오래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알리 골람레자네자드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 신체적 손상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해 이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올 1월부터 CT 장치를 이용해 코로나19에 걸린 환자의 폐를 연구했다. 한달 넘게 33명 환자를 추적해 3분의 1 이상 조직이 죽어 눈에 보이는 흉터가 남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흉터가 사라지지 않는 일부 환자도 발견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들 환자가 최악의 시나리오를 대표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대다수 감염된 사람이 병원에 입원하지 않기 때문에 폐손상을 확인할 가능성이 10% 미만 정도로 낮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2900만 명이 넘는 감염자가 나온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최소 수십만 명이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다고 예측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환자가 늘면서 후유증과 싸우는 사람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여전히 새로운 질병으로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후유증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물론 일부 후유증은 기도삽관과 같은 집중 치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에 따르면 장기적인 문제는 대부분 코로나19에서 비롯된 것으로 바이러스가 여러 장기를 손상하고 알려지지 않은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부 환자의 경우 폐뿐만 아니라 심장, 면역체계, 뇌 및 기타 부위에 장기적인 손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또 다른 코로나19라고 볼 수 있는 사스의 사례를 보면 이런 영향은 수년간 지속됐다. 따라서 전문가는 코로나19도 마찬가지 기간이 걸릴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만성피로증후군처럼 지속적인 불쾌감을 겪을 수 있다는 의미다. 과학자는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장기 손상에 중점을 둔 연구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일부 전문가는 후유증을 추적하는 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코로나19 후유증을 살펴보고 있다. 영구 레스터대는 입원 후 1년간 환자 1만 명을 대상으로 환자 상태를 추적하고 바이오 마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지난 7월 말 미국도 코로나19 환자를 2년간 추적하는 장기 연구를 개시했다. 네이처는 “많은 국가의 의료 시스템은 이미 급성 사례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이제는 장기적인 후유증을 파헤치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