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확산되는 가운데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 방역당국은 강조하고 있다. 아무래도 코로나19에 걸리기 쉬울 뿐만 아니라 환자가 되면 위중이나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다. 젊은 사람이라도 당뇨가 있을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당뇨병은 특히 췌장암의 위험 요인이기도 하다. 당뇨환자 가운데 갑자기 혈당 조절이 안될 경우 췌장암 발생 위험이 10배 가량 증가하게 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가 2019년 12월에 발표한 자료에는 췌장암 5년 생존율이 12.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암은 94.1%, 유방암은 93.2%, 위암은 76.5% 생존율을 보이는 것에 비해 크게 낮다.  췌장암은 생존율 때문에 최악의 암으로 손꼽히고 있다. 환자 수도 적지 않은 편이다. 2017년 한해에는 7032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매년 많은 환자가 나오고 있다. 췌장은 지방 분해 효소를 분비하고 소화를 도와준다. 또한 인슐린이나 글루카곤 등의 호르몬을 통해 혈당 조절을 하는 역할을 한다. 15cm의 가늘고 긴 장기로 위장의 뒤쪽, 몸 속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일반 건강검진에서 많이 하는 복부초음파검사로 췌장암을 찾기 어려운 이유다. 증상도 거의 없기 때문에 10명 중 8명 이상은 수술이 어려운 상태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당뇨병이 갑자기 생기거나 당뇨 조절이 안된다면 췌장암을 의심해야 한다. 이 경우 췌장암 발생 위험이 10배 가량 증가하기 때문에 꼼꼼한 확인은 필수다. 특히 당뇨 환자의 경우 췌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당뇨가 있을 경우 췌장 기능이 떨어져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위장병이 있는 경우에도 췌장을 살펴야 한다. 췌장암의 주요 증상 중 하나가 통증이지만 명치 통증이 있다고 해도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게 된다. 하지만 위장병으로 통증이 의심스럽다면 췌장암 검사도 꼭 해보는 것이 좋다. 췌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금연은 필수다. 또한 비만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육류 중심의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을 피하고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어야 한다.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관리를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꾸준히 치료 받고 식이요법을 철저하게 지키는게 좋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