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재난안전포털은 추석 연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취할 수 있는 행동요령에 대해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추석 연휴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비상소집을 먼저 해야 한다. 자고 있을 경우 화재 경보가 울리면 불이 났는지 확인하는 것보다는 소리를 질러 모든 사람을 깨워야 한다. 이후 소집한 후 대처 방안에 따라 밖으로 대피하는게 중요하다.
이 때 대피방법을 잘 결정해야 한다. 손등으로 출입문 손잡이를 만져보고 손잡이가 따뜻하거나 뜨거운 경우 문 반대쪽에 불이 난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문을 열지 않고 연기 들어오는 방향과 출입문 손잡이를 만져보는 것으로 계단으로 나갈지 창문으로 구조를 요청할지 결정해야 한다.
대피가 결정되면 신속하게 대피해야 한다. 대피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해서는 안된다. 계단을 통해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하는게 중요하다. 대피가 어려울 경우 창문으로 구조요청을 하거나 대피공간 또는 경량 칸막이를 이용해서 대피해야 한다.
이후 119로 신고해야 한다. 안전하게 대피한 후 119에 신고하는게 좋다. 휴대폰이 있어 신고가 가능할 경우 속히 해줘야 한다. 신고하느라 대피시간을 놓치게 되면 더 위험해 지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
대피 후 인원을 확인해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주변에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경우 출동한 소방관에게 알려줘야 한다.
불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먼저 소리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주변에 알리는게 중요하다. 또한 불을 끌 것인지 아니면 대피를 할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 불길이 천장까지 닿지 않는 작은 불이라면 소화기나 물양동이 등을 활용해 신속하게 진압해야 한다.
하지만 불길이 커져 대피하는게 더 나을 경우 젖은 수건이나 담요 등을 활용해서 계단을 통해 대피하는게 좋다. 세대 밖으로 대피하기 어려울 경우 경량 칸막이를 이용해 이웃집으로 대피하거나 완강기를 이용해 창문으로 나가는 방법, 실내대피 공간으로 대피했다가 불이 꺼진 후 나오는 방법 등을 활용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