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적 마스크의 의무 공급 비율을 축소하면서 수술용 마스크 물량 감소로 의료현장의 `마스크 대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29일 대한병원협회(이하 병협)에 따르면 6월 넷째 주(6월 22∼26일) 들어온 덴탈 및 수술용 마스크는 163만8600장으로 5월 마지막 주(5월 25∼30일, 286만800장) 대비 42.7% 감소했다.지난달 주 단위 입고량이 가장 많았던 기간(5월 18∼23일, 327만4000장)과 견줘 `반토막`이 난 것이다.병협은 지난 3월 공적 마스크 제도 시행에 따라 정부에서 매주 마스크를 조달받아 전국 3400여곳 병원급 의료기관에 공급하고 있다.원자재 수급 불안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말까지는 적정량을 공급했으나 식약처가 이달 초 공적 마스크 제도를 개선하면서 상황이 변했다고 병협은 주장한다.식약처는 이달 1일부터 마스크 민간 유통 확대를 위해 공적 의무공급 비율을 전체 생산량의 80%에서 60%로 낮췄다. 병원 등에 의무공급하는 비율을 줄이는 대신 수술용 마스크 생산량을 2배 이상 확대해 수급에 차질이 없게 한다는 계획이었다.식약처 발표와는 달리 마스크 생산량이 늘지 않으면서 병협에 들어오는 수술용 마스크도 대폭 감소했다. 병협은 현 상황이 지속한다면 병원 마스크 수요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에 따라 병협은 식약처에 수술용 마스크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생산량을 확대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병협은 "덴탈용 마스크를 포함한 수술용 마스크의 의무공급 비율은 낮아졌지만, 생산량은 늘지 않으면서 병원에 공급할 물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마스크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재 공적 마스크는 구매수량이 확대되어 한주에1인 10개까지 구매할 수 있다. 공평한 구매를 위해 마스크 중복구매 확인 제도는 유지되고 있으며, 마스크를 구매할 때 공인 신분증을 필히 지참해야 한다.마스크 사용 시에는 착용 전 꼭 손을 비누와 물로 씻거나 손 소독제로 세정하여야 한다. 착용 시에는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없는지 확인하고 코와 입을 반드시 가려야 하고, 사용하는 동안에는 마스크를 만지지 말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