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예일대학교 연구진이 감기 환자 1만 3천여 명을 분석한 결과 일반 감기를 앓아 생긴 면역력이 독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인 라이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동시에 독감 바이러스에 좀처럼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중 라이노 바이러스와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각각 900명 안팎이었다.  그러나 두 가지에 동시 감염된 환자는 12명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이에 착안해 줄기세포에서 배양한 호흡기 세포에 바이러스를 주입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라이노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는 추후 주입한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노 바이러스가 천연 항바이러스 물질인 인터페론 분비를 촉진한 덕분이다. 인터페론 분비는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나타나는 초기 면역 반응의 일종이다. 실험에서 이런 예방 효과는 최소 5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진은 바이러스 사이에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코로나19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폭스먼 교수는 “바이러스 사이의 상호 작용은 감염과 확산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다”며 “앞으로 감기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관계를 규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다. 듀크 대학교 토니 무디 교수는 “팬데믹이 끝나지 않은 현시점에서 감기에 걸리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지 판단할 수 없다”며 해석을 확대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한 백신 개발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러시아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올해 내로 백신 상용화에 나설 것을 목표로 꾸준하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 와중에 나온 연구 결과가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