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26일 0시 기준 두 건의 다기관염증증후군 의심사례가 신고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질병관리본부는 소아괴질 명칭 사용을 확인 전까지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국내에 첫 보고된 두 건은 모두 서울 지역 의료기관에서 신고됐다. 연령대는 10세 미만 1명과 10대 1명이다. 이중 한 건은 사례정의에 부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신고된 두 건 모두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소아괴질이라는 표현이 막연한 불안과 공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용어 선택에 주의를 당부했다. 소아 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또는 다기관염증증후군이라는 표현을 사용해달라고 요청했다.
다기관염증증후군은 면역반응의 과도한 활성화로 만19세 이하 소아, 청소년에게 38도 이상의 고열과 전신 염증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발진, 점막 염증, 안구 충혈, 심장 등 주요 장기 기능장애 등의 증상도 보고되고 있다.
아직 정확한 기전이 확인된 것은 아니다. 다만 사이토카인 폭풍처럼 면역체계의 과잉 반응이 일어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일어나고 있다.
다기관염증증후군은 온몸에 염증이 생기는 가와사키병이나 독성쇼크증후군 등과 증상이 비슷해 이들 질환으로 분류됐다. 코로나19와의 연관성이 유추되는 만큼 세계 보건 기구는 이를 다기관염증증후군이라고 분류하고 있다.
현재 이로 인한 사망은 영국, 프랑스, 미국 등 최소 5건 이상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례 보고는 학부모에게는 공포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속속 등교 연기가 이뤄지고 있는 것도 아직은 잡히지 않은 코로나19와 새롭게 드러난 다기관염증증후군에 대한 우려가 크다.
현재 원격 수업중에도 19세 이하 소아, 청소년이 24시간 이상 38도 이상의 열이 나고 발진, 결막염, 점막 염증, 위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수업 참여보다는 병원진단을 우선으로 두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