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ADHD에 대한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좋아하는 게임을 하거나 영화를 볼 때는 집중력이 좋지만 책을 읽거나 업무를 할 때는 5분도 집중하기 힘들다면 의심해야 한다. 일을 잘 하다가도 불쑥 멍해지거나 잡생각이 끼어드는 경우, 음식을 과하게 먹거나 음주량 조절이 안된다면 이를 유의해야 한다. 계획한 일을 잘 이루지 못하고 절차에 맞게 일처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 한 사람과 오랫동안 깊은 관계를 갖지 못한다면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에 해당되는 경우 성인 ADHD를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뜻한다. 소아 및 청소년에서 많이 생기는 정신 질환이다. 하지만 전체 성인 인구의 3~5%는 ADHD를 가지고 있다. 어린시절 ADHD가 성인이 된 이후까지 지속될 확률도 50%다. 성인 ADHD는 소아 ADHD와 달리 산만하거나 시끄러운 행동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주의력 결핍이나 충동성으로 인해 일상생활 전반에 불편함이 크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ADHD를 소아 및 청소년에게만 생기는 질환으로 오인하는 경우 병원을 찾지 않는 환자가 많다. 또한 ADHD는 영화나 게임같이 자신이 흥미를 가지고 쾌감을 느끼는 것에 대해서는 과몰입 수준의 집중력을 보인다. 따라서 신경생물학적 질환으로 생각하지 않고 의지 부족이나 성격 탓으로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환자의 치료를 막고 증상 악화를 일으킨다. 특히 성인 ADHD는 우울, 불안, 충동조절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가 동반된다. 따라서 ADHD는 성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 정확한 평가와 처방을 통해 치료를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성인 ADHD는 소아 ADHD의 지속, 유전적 요인, 신경전달 물질 체계의 이상 스트레스 등이 있다.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우리 뇌에서 주의 집중, 충동조절, 계획 등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성숙이 늦거나 발달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으면 다시 발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원인을 찾고 치료하려는 노력은 필수다. 이를 치료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나뉜다.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은 약물이다. 이를 이용하면 꾸준하게 치료할 수 있다. 다만 전문의의 판단 하에 따라 투약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이외에도 인지행동 치료를 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일정을 잘 정리하고 관리해 수행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