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진은 2012년을 사는 사람이 1995년의 같은 또래에 비해 매일 받는 스트레스가 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995년에 성인 1500명을 인터뷰했다. 당시 인터뷰 주제는 스트레스였다. 가족이나 친구와 다툼이 있는지, 집에서 또는 직장에서 힘든 일이 있었는지,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어느 정도로 받았는지, 스트레스가 이상의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였는지 등을 질문했다.  이와 같은 질문을 17년이 지난 2012년 성인 800명에게 던졌다. 그 결과 같은 또래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중년 그룹인 45~64세 사이에 속한 이들은 매일 받는 스트레스가 1995년에 비해 19%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날짜로 환산하는 경우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날은 17년전보다 평균 일주일 길어졌다. 그 중에서도 중년 그룹은 64일이나 늘어났다.  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알메이다 교수는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삶의 속도를 꼽았다.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정보 역시 점점 많아지는 환경이 스트레스를 받게 하는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취업이나 독립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다 큰 자식을 계속 부양해야 하는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다. 특히 고령화로 인해 부모를 돌보는 부담도 가중되면서 이른바 ‘낀 세대’가 된 중년의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메이다 교수는 “환경은 쉽게 변하지 않는 만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건강한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은 기본이고 요즘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는 뉴스 시청을 하기 보다는 코미디 영화 같이 기분을 좋게 만드는 프로그램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다. 한편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해소 방법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오히려 스트레스를 불러 일으키는 해소법을 활용하는 경우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음주다. 음주를 하게 되면 그만큼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스트레스가 풀리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인 부담이 쌓이게 된다. 이에 대한 부담은 고스란히 또 다른 스트레스로 진행된다. 이러한 점에서 음주보다는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활동이 낫다. 이외에도 몸을 움직이거나 머리를 쓸 수 있는 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그만큼 해소법도 잘 골라야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리학회 저널에 실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