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개발이 목전에 다가온 가운데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태도가 국가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제약회사와 연구자들이 경쟁적으로 백신 개발에 나서는 가운데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인지에 대한 개인 판단이 국가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국제 시장조사기관 입소스는 전 세계 여러 나라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가 170개 백신 후보를 추적한 결과 이중 9개 후보가 현재 제3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백신이 생산되기 위해서는 수년의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코로나19의 경우 시급성을 고려해 기간을 12~18개월 정도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백신이 생산되더라도 접종을 받을지 여부는 개인의 선택이다. 백신 접종자가 많을수록 집단 면역이 빨리 형성된다는 점에서 코로나 팬데믹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조사 결과는 나라 별로 이에 대한 태도 차이가 보였다. 백신이 개발되면 접종을 받을지에 대한 물음에 74%는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97%에 달하는 응답을 통해 백신 접종에 호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브라질과 오스트레일리아는 88%, 인도는 87%, 말레이시아와 영국은 85%, 우리나라는 84% 응답자가 백신을 맞을 것이라고 답했다. 다소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백신접종을 거부하는 사람의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도 있었다. 미국,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의 경우 67% 응답자가 백신을 맞을 것이라고 답했다. 프랑스는 59%, 헝가리와 폴란드는 56%, 러시아는 54% 사람만이 백신 접종을 하겠다고 응답했다.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요인으로는 부작용이 컸다. 백신 접종을 받지 않겠다는 응답자의 56%는 부작용을 걱정했다. 또한 29%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19%는 자신이 위험하지 않기 때문에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7%는 백신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응답 결과도 국가별 차이를 보였다. 스페인은 70%, 스웨덴은 68%, 폴란드는 65%가 부작용을 우려했다. 반면에 말레이시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50% 미만의 사람만이 부작용을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이 올해 내로 생산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응답이 많았다. 41%가 2020년 백신이 개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중국은 87%로 높은 기대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