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태풍 마이삭 북상에 따른 선제적 대응을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 비상대응 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국가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하고 태풍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되는 지자체에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해 대비한다. 현장 대응태세를 점검 및 지원하고 태풍 영향범위가 확대될 경우 대응 단계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행안부는 태풍에 대비해 지난달 31일 재난관리실장 주재로 관계부처와 17개 시도가 참여하는 상황판단회의를 갖고 예상진로, 영향범위, 과거 피해내역 등을 공유하기도 했다.
중대본 가동에 따라 행안부는 관계부처와 지자체에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하고 호우 및 강풍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은 태풍 북상에 대비한 특별지시를 오는 2일 하달했다. 주요 지시사항으로는 위험 지역의 선제적 통제와 필요시 주민들을 공공시설 등 안전장소로 대피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해상 선박 피해 방지를 위해 대피 및 산업현장 강풍 사고 방지를 철저하게 하고 소방관이나 경찰관 등 재난 현장 대응 인력에 대한 안전조치도 지시했다.
이후 국무총리 주제 태풍 마이삭 대처상황 점검 회의를 통해 해안가 주민이나 어선, 양식장 시설 안전조치, 시설물 고정 등 강풍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시했따. 이에 선박대피 및 결박, 인양 등에 들어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한다.
중앙대책본부장 주재 대책회의에서는 해안가 저지대 등 위험지역 주민 사전 대피를 비롯해 출퇴근, 등하교 시간 조정 등 태풍 내습 시 이동 최소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했다. 긴 장마로 지반이 약해진 만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에 만전을 기한다.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도 태풍 마이삭과 관련한 원자력이용시설 대비 태세를 점검한다. 이번 대비대세는 화상 상황점검회의로 진행됐다.
회의는 원안위 방재상활실에서 5개 지역사무소와 한국수력원자력 등과 영상으로 진행됐다. 태풍 마이삭 대비 점검결과 보고와 대비 태세 등을 점검한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태풍이 부산 인근에 상륙해 영남지역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영남지역에 위치한 원전의 현장 안전점검을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상특보가 해제될 때까지 비상근무체계를 유지, 특이사항이 발생하면 신속히 보고할 것”을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