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CRE 감염증은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장내세균속균종에 의한 감염질환을 말한다. 환자 또는 병원체 보유자와의 직간접 접촉이나 오염된 기구, 물품 및 환경 표면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따라서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CRE 감염증 발생 신고가 지난해 대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의료기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 CRE 감염증은 2017년 6월 3일부터 전수감시 감염병으로 지정됐다. 의료기관 내 집단 감염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전수감시로 전환된 이후 신고 건은 2017년 5717건, 2018년 1만1953건, 2019년 1만5369건으로 매년 증가한다. 올해는 744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CRE 감염증 신고 중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올해 70세 이상 신고는 전체 신고의 60% 이상이다. 요양병원 신고건 비율은 2018년 4%에서 2020년 10%로 증가했다. 이번 증가의 원인은 전수감시 전환 이후 신고에 대한 의료기관의 인식 향상, 환자의 의료기관 이용증가, 코로나 19 대응에 따른 감염관리 자원부족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감염증은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의 종류가 제한돼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CRE 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한 의료기관 감염관리 원칙은 CRE 환자와 접촉하기 전후 물과 비누 또는 알코올 손 소독제를 이용한 손 위생 관리 등 다양한 예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요양병원 CRE 관리를 위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방 관리 방법을 개발, 배포했다”며 “전국 의료관련 감염 감시 체계 대상을 요양병원까지 확대했다”고 말했다.이어 “CRE 감염증 집단 감염 관리를 위해 지자체 담당자 대상 감시, 관리, 역학조사 교육 자료를 제작, 분석자료를 공유하고 있다”며 “관련 업무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