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난 23일 올해 2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와 발주청 명단을 공개했다. 그 결과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 건설사는 GS 건설로 밝혀졌다.
GS건설은 지난 4월 6일 새만금 신항 진입도로와 북측방파호안 축조공사 현장에서 부주의로 인한 굴착기 해상 전복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 결과 근로자 1명이 사망하게 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틀 뒤인 4월 8일에는 이천~오산 고속도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터널 첨단부 암반탈락으로 인해 1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그만큼 안전사고에 대한 불감증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SK건설이 이었다. 지난 4월 21일 동래 3차 SK VIEW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장비 전도로 인해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벌어졌다. 지난 6월 20일에는 부전~마산 복선전철 현장에서 잠수사 1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현대건설이나 대우건설, 롯데건설, 태영건설, 한신공영, 중흥토건 6개 건설사는 부주의 등으로 인해 1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GS건설과 SK건설, 현대, 롯데건설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지 채 6개월이 경과하기 전에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대 건설의 경우 최근 1년간 신고된 건설현장 사망자 누적인원이 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분기 동안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발주기관은 부산시다. 지난 4월 9일 하수관로신설 공사 과정에서 근로자 3명이 질식사 하는가 하면 6월 23일 부산 에코델타시티 상수도 인입공사에서 1명이 작업부주의로 사망하기도 했다.
국토부는 사망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3월까지 사망사고 발생 대형 건설사 공사현장 가운데 179개 현장을 지난 6월까지 특별, 불시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점검 결과 271건의 부적정 사례를 적발했다. 품실시험이 미흡하거나 철근 노출 등 재료 분리 발생이 일어나기도 했다. 흙막이 가시설 설치 불량 등 부적정한 시공사례 6건에 대해서는 벌점을 부과할 계획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을 대상으로 집중점검하겠다”며 “징벌적 현장점검을 꾸준하게 실시해 선제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