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문근기자] 선도적인 하드웨어 암호 지갑 제조업체이자 개발자인 레더는 지난해 1백만 개 이상의 하드웨어 지갑을 판매하여 2900만 달러의 이익을 기록했다.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파스칼 고티에 대장은 사용자가 불편 공용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에 서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보안 플랫폼이 부족해 레저 및 하드웨어 지갑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 자체는 안전하지만 블록체인에 서명하는 것은 결함이다”며 “개인 키를 분실하면 자산을 회수하거나 복구할 수 있는 은행이 없습니다”라고 밝혔다.
2018년 초 레더는 억만장자 초창기 기술 투자자인 팀 드레퍼와 드레퍼 벤처 네트워크 펀드를 중심으로 7500만 달러를 모금했다.
원장 시리즈 B 자금 조달 라운드는 이전 700억 달러 투자를 종결시킨 이전 시리즈 A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상당한 후원이었다.
지난 해 인상적인 재무 실적으로 이익을 기록한 레더는 올해 또 다른 수백만 달러짜리 기금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 이미 삼성, 지멘스, 구글 벤처 기업과 같은 세계 초치대의 대기업 중 일부는 레더에 대한 투자와 관련해 재무를 검토했다고 포브스가 밝혔다.
원장의 이전 시리즈 B 자금 조달 라운드는 주로 원장의 인프라를 개선하고 소매업자 및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됐다.
앞으로 고티에는 암호화폐 부문에 진출한 기업이 코인베이스 보관 데뷔로 인해 대규모 기관 투자가를 위한 제품 공급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비트 코인을 들고 있는 대다수의 대형 투자자들은 자포와 코인베이스의 금고 시스템을 사용해 자금을 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비트 코인을 보관소에 요청하면 투자자는 보관소 운영자를 신뢰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레더의 비전은 대기업도 제 3자 서비스 제공 업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토큰과 같은 암호화폐를 보유할 수 있는 생태계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고티에는 “고객이 레더 볼트를 구매하기 위해 프랑스의 레더 사무실 밖에서 대기 중”이라고 강조하면서 크고 작은 금융 기관을 위해 만들어진 금융 기관을 위한 레더 나노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2018년 암호화폐 섹터는 코인체크, 빗썸 및 코인레일이 겪었던 네 가지 주요 해킹 공격을 보았다. 일본 및 한국의 암호화 시장에서 대규모 암호 교환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 지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암호화폐 투자자와 사용자의 보안 및 비 보존 플랫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