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이창희기자] 테조스 재단은 공식 블로그 포스트에서 베타 넷이 살아있다고 발표했다.
테조스는 2017년 7월 초기 유자 증권(ICO)에서 2억 3천2백만 달러를 모금하여 당시 가장 큰 토큰 판매로 만든 스마트 계약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온-체인 거버넌스 모델과 현명한 계약을 위한 공식 검증을 자랑한다. 1년 동안의 적극적인 개발, 여러 집단 소송 및 다중 지연 이후 테조스가 마침내 성공적으로 출시됐다.
테조스 재단의 대표인 라이언 제퍼슨은 “테조스의 미래는 지역 사회의 손에 달려 있다”며 “이 순간이 프로젝트의 변곡점이 되며 혁신적이고 분산된 네트워크의 성공을 이끌어내는 전세계 개발자, 과학자, 검증 전문가 및 열광자를 지원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처음부터 테조스 프로토콜의 토대가 되는 코드 기반은 보안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며 “모든 시스템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는 없지만 모든 시스템은 버그 수정, 코드 기반 유지 및 조정, 추가 기능 통합 등의 목표를 향해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베타넷이 실행되는 동안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치를 언급했다. 이어 “업그레이드가 구혐됨에 따라 예정되지 않은 다운 타임 및 하드 포크가 발생할 수 있다”며 “베타 넷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는 베타넷이 충분히 성숙한 후에 시작될 메인 넷에 계속 남아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재단은 또한 샌프란시스코 기반의 사이버 보안회사인 해커원을 후원해 자사의 버그 현상금 프로그램을 관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각 기관의 독립적인 보안 감사 및 코드 검토, 인리아 보안 연구원을 위촉했다.
테조스에는 사용자가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제안할 수 있는 자체 온-체인 거버넌스 모델이 있다. 네트워크가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합의에 이르면 수동 개입없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제안자는 네트워크 토큰으로 보완된다.
테조스는 이 메커니즘이 모든 사람들에게 네트워크 개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프로젝트를 최대한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테조스 재단은 투자자들에게 발송된 이메일에서 1년 동안 네트워크 제안과 관련해 거부권을 유지한다고 생각했지만 이후로는 결정하지 않았다.
제퍼슨은 프로젝트의 비영리 재단의 향후 역할에 대해 질문 할 때 “재단의 역할은 테조스 프로토콜의 발전을 지원하는 자원을 배치하는 것이다”며 “지역사회 구성원들 및 기업체에 지원을 주로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테조스는 현재 히트BTC 및 게이트.io IOU 시장에서만 거래하고 있으며 상장 관련한 소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