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들이 남아프리카의 상업 수도 요하네스버그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해킹해 비트코인을 얻기 위해 이 도시에 몸값을 지불하려고 했다. 이에 따라 시는 웹사이트를 폐쇄하고 사전 예방조치로 모든 e서비스를 중단했다. 그 도시의 웹사이트를 쓸 당시에는 여전히 접속이 불가능했다. 퍼 더 타임즈는 이번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섀도 킬 해커로 알려진 의상이다. 이 그룹은 10월 28일 폐업 때까지 현재의 비트코인 가격으로 3만 달러에 가까운 4 비트코인을 요구하고 있다. 섀도 킬 해커는 이 도시의 몇몇 직원들이 받은 몸값 메모에서 이 도시로부터 값진 기밀 자료를 얻었다고 주장했다. 모든 서버와 데이터가 해킹당했다. 당신의 도시 안에 수십개의 뒷문을 가지고 있어 도시에 있는 모든 것을 통제한다. 금융과 개인 인구 정보 등 모든 비밀번호와 민감한 자료도 위태롭게 했다. 해커들은 비트코인 몸값을 지불하지 않을 경우 민감한 자료가 공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폐쇄의 영향을 받을 전자 서비스로는 온라인 청구 서비스가 있다. 인터넷 기반 고객 관리 서비스도 중단됐다. 이미 비트코인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조사가 시작돼 24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요하네스버그 시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그들의 디지털 뱅킹 서비스가 인터넷 문제에 부딪혔다는 것을 폭로하는 남아프리카 은행 두 곳과 일치한다. 여기에는 스탠더드 뱅크, 압사 및 기타 3개 은행이 포함됐다. 이번 사건은 에너지 유틸리티 시티 파워가 비트코인 랜섬웨어 피해를 입은 지 석 달만에 발생했다. 사이버 공격은 유틸리티의 데이터베이스가 암호화되고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가 손상되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발전과 공급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번 해킹에 대해서 빠른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비트코인 랜섬웨어를 통해서 이뤄지는 범죄에 대해서 시 전체가 위협을 받게 된 것은 그만큼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했다고 풀이된다. 따라서 앞으로 비트코인 랜섬웨어에 대한 관리는 더욱 철저하게 이뤄질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향후 요하네스버그 시의 대책에 관심이 모이는 이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