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 지지자라면 비트코인을 고유한 자산으로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가치 저장소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돈이 많은 거래를 위해 이를 지불 솔루션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암호화폐 커뮤니티 외부에서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의 왕을 신뢰할 수 없는 자산으로 보고 있다. 최근 G7 국가는 비트코인이 두 가지 주요 사용 사례를 제공하지 못한 방법을 강조하는 연구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강력한 주장을 제시하지만 주장을 뒷받침하는 통계와 같은 증거는 제공하지 않는다. G7의 관점에서 지배적인 암호화폐는 실패한 자산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과 지불 수단이라는 두 가지 주요 판매 포인트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암호화폐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이유를 열거한다. 변동성이 큰 가격이나 확장성 제한,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거버넌스 및 규제 문제를 손꼽고 있다. 결국 G7은 비트코인을 불법활동과 관련된 사람들이 사용하는 투기 자산으로 강등했다. 이것은 엄청난 주장이다. 최소한 G7보고서는 요점을 뒷받침할 사실을 제공해야 한다. 보고서에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것을 찾지 못했다. 따라서 비트코인이 실제로 가치 저장소와 안정적인 지불 솔루션으로 실패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G7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가치 저장소의 역할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휘발성은 거래가 가능한 이후 암호화폐가 유례없이 상승했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유리하다. 마켓오더스의 공동 설립자인 수키 줄라는 이에 동의한다. 그는 “현재의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변동성이 있지만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은 장기적인 가치 성장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암호화폐의 성장을 IPO 이후 최고 실적의 주식 성장과 비교하면 비트코인은 최고다. 비트코인 가격은 빠르게 상승한 곡선을 가지고 있다. 반면 신뢰할 수 있는 자산은 2009년 이후 큰 폭의 성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비트코인에 비해서 어마어마한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트코인은 지불 수단으로 널리 채택되지는 않지만 이 측면에서 실패했다고 말하는 것은 다소 어폐가 있다. 거래량은 2010년 2건에서 현재 28만9천 건으로 급증해 1452만 % 증가했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는 수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해시레이트는 초당 가까운 9700만 테라 해시를 의미한다. 현재 수준에서 네트워크의 51%를 제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트랜잭션이 원활하게 실행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폐는 실패한 자산이 아니라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에 위협을 주는 자산으로 거듭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