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연간 글로벌 NGO 기술 평가에서 비트코인은 평균 미만의 채택률을 기록했다. 글로벌 NGO 기술 보고서는 전 세계 비정부기구의 기술 활용을 평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의사소통, 기금 마련, 정보처리 등을 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이에 따르면 대부분의 NGO들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신용카드와 모바일
머니 같은 전통적인 결제 수단을 통해 처리되는 거래가 훨씬 더 많아졌다.
아프리카 NGO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로 결제 건수가 5%로 가장 높았지만 중남미와 아시아 등 다른 지역은 암호화폐로 결제 건수를 1~3%
가량 처리했다. 보고서는 아프리카 NGO의 64%가 지난해 50%에서 신용카드 결제를 받아들이며 28%가 모바일 머니, 5%는 암호화폐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모금 같은 핵심 분야에서는 전 세계 NGO의 평균 결제가 비트코인으로
2% 미만으로 예상치를 밑돌았다.
전 세계 NGO의 64%가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기부를 받아들이고 있다. 이 중 79%는
신용카드 결제, 50%는 직불, 46%는 페이팔, 10%는 디지털 지갑 결제, 2%는 비트코인을 받는다. NGO가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를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하루 거래량과 비트코인의 가치 등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주요 비트코인 지갑 서비스 및 블록체인 분석 업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프로세스는
매일 6억 달러에서 30억 달러에 이른다.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온체인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비트코인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을 감안할 때
NGO와 기업들에 의한 지배적인 암호화폐의 채택은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적어도 NGO들 사이에서 비트코인은 기대만큼 소비자와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 모바일 카드의 이용률은 34%로 높지만
암호화폐, 게임을 통한 기부, 스마트 스피커 제공 등 다른
새로운 기금 조성 도구 도입은 세계 평균에 못 미친다.
비트코인이 안전한 피난처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체 가치 저장소로 운용할 수 있는 자질과 특징을 갖고 있다.
중기적으로 비트코인을 쓸 계획이 없는 개인과 기업이 장기 투자로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는 경기침체와 국내 소비자들의 저조한 수요에 이어 세금 납부를 위한 비트코인 채택을 중단하면서
비슷한 추세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