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문근기자] 이더리움의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최근 오미세고 AMA 세션에서 쉐딩 및 프라즈마와 같은 2차 계층 솔루션을 사용해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초당 1백만 건의 트랜젹선을 처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잠재적으로 1억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전에는 다양한 회의 및 프레젠테이션에서 부테린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프로토콜과 분산형 블록 체인 네트워크가 일반적으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부테린은 2017년 9월 테크크런치에서 주최한 디스럽트 SF 2017 컨퍼런스에서 벤처 캐피털 투자자인 나발 라비칸트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피크 용량에서 초당 3~6회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비자와 나스닥과 같은 주식 시장, IoT 네트워크와 같은 대규모 지불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블록체인을 위해 초당 수십만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해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비트코인은 현재 초당 3개 미만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있으며 4에 가까워지면 이미 최대 용량에 달했다”며 “이더리움은 초당 5개를 수행하고 있으며 6개가 넘으면 최대용량이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에 우버는 초당 12회 타기, 페이팔 수백, 비자 수천, 주요 증권 거래소 수만 명을 제공해 IoT에서는 초당 수십만명이 통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미세고 AMA 세션에서 부테린은 이더리움 테스트 네트워크에서 현재 테스트중인 2계층 확장 솔루션을 사용해 이더리움 블록 체인 네트워크가 블록체인 최적화에 혁신적인 방법을 사용해 수백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대규모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정 샤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샤드로 나눠서 샤드의 정보를 처리하는 노드 그룹을 갖추고 있다. 샤딩을 사용하면 블록체인의 모든 노드가 블록 체인에 정착된 모든 단일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산 정보 프로세스가 최적화된다. 부테린과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공동저자 조셉 푼이 개발한 솔루션인 플라즈마는 비트코인의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이더리움이 주요 블록체인 내의 하위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처리하고 주요 이더리움 프로토콜을 사용해 네트워크를 잠재적 공격에 취약하게 만든다. 또한 부테린은 레이어 1과 레이어 2 솔루션 간의 시너지 효과로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1만배 향상시켜 네트워크가 초당 수백만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