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츠데일리 =최수일기자] 노인성 난청은 나이가 들면서 청력이 점차 감소하는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이다. 난청은 단순히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불편함을 넘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사회적 고립, 우울증, 치매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적합한 보청기를 착용하고 청능 재활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성 난청으로 진단되면 가장 먼저 고려할 수 있는 것이 보청기 착용이다. 보청기는 크게 귀걸이형, 외이도형, 고막형 등으로 나뉘며, 난청 정도와 착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형태를 선택해야 한다.귀걸이형: 크기가 크지만 조작이 쉬워 중증 난청 환자에게 적합하다.외이도형 및 고막형: 외관상 눈에 잘 띄지 않아 난청이 덜 심한 환자나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하나히어링 성동센터 홍제연 원장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으면 난청이 악화되거나 이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치매와 우울증 발생률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보청기를 처음 착용하면 약 6주가량의 적응 기간이 필요하다. 외이도가 막히는 느낌, 저음의 울림, 자신의 목소리가 동굴에서 울리는 듯한 경험은 일시적인 현상이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적응되지만, 지속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청기를 조정해야 한다.홍 원장은 “적응 기간에는 조용한 환경에서 1~2시간씩 보청기를 착용하고 점차 시간을 늘려가는 것이 좋다. 볼륨 조절과 소리 적응을 통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난청이 오래 지속되면 청각 기능이 저하되고 뇌의 소리 처리 능력도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청기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청능 재활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홍 원장은 “보청기를 착용하는 데도 ‘골든타임’이 있다”며, “청력 손실이 확인되면 빠르게 보청기를 착용하고 재활 훈련을 통해 청력 저하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보청기는 다른 전자제품과 달리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한 의료기기다. 이를 위해서는 청력검사와 실이측정(REM)을 비롯한 전문 장비를 갖춘 센터를 선택해야 한다.실이측정(REM): 보청기 소리가 실제 고막 근처에서 적절한 증폭을 이루는지 확인하는 검사로, 정확한 소리 조정을 위해 필수적이다.전문 상담: 청력 상태, 난청의 정도, 생활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합한 보청기를 선택하도록 돕는다.보청기는 단순한 소리 증폭 장치가 아니라, 난청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치매를 예방하는 중요한 도구다. 적합한 보청기를 선택하고 꾸준히 관리하며 청능 재활을 병행하면 건강한 노후를 누릴 수 있다.도움말/ 하나히어링 청주센터 채지훈 원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