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는 항생제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기 위해 매년 11월 셋째주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 주간으로 지정한다.
항생제 내성으로 공중보건이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예고되면서 이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자 이날을 WHO에서 지정했다.
질병관리청은 이 날을 맞아 지난 16일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예방 수칙과 실천 사항을 소개하기도 했다.
국내에서 인체에 사용하는 항생제 사용량은 29.8로 OECD 25개국 평균인 18.6보다 높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인식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은 27.7%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생제가 필요없는 감기 환자에서 특히 항생제 처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에 의하면 2019년 기준 감기에서 38.3%의 부적절한 항생제 처방이 있었다.
또한 질병청이 지난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에 의하면 항생제가 감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답변이 40.2%, 감기 진료를 받을 때 항생제 처방을 요구한다는 응답이 13.8%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항생제의 불필요한 처방과 복용 오남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질병청은 항생제는 감기약이 아니다라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항생제는 의사가 처방한 경우에만 복용, 처방받은 용법과 기간을 지켜 복용, 남겨둔 항생제를 증상이 비슷하다고 임의로 먹지 말기, 다른 사람과 나눠먹지 않기, 개인 위생을 청결히 하고 예방접종으로 세균질환 사전에 예방하기 등을 지켜 복용해야 내성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항생제를 많이 복용한다고 해서 감기가 빨리 낫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필요 이상의 항생제가 체내에 쌓이면 내성균이 생겨 위급할 때 치료 효과를 볼 수 없다. 현재 항생제 사용 추세대로라면 2050년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슈퍼박테리아로 매년 전 세계 1천만 명이 상망할 것으로 예측된다.따라서 국민의 인식 제고와 보건의료 전문가의 지침에 따른 처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내성 추이 모니터링 등도 지속 되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