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15일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해외 백신 개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국내 백신 개발 속도를 고려, 해외 백신 단계적 확보 추진을 위한 코로나19 백신 도입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1단계로 COVAX 퍼실리티 및 개별기업과 협상을 통해 국민의 60%인 3000만 명이 접종 가능한 백신을 우선 확보한다. 추후 수급 동향과 국내 백신개발 상황 등을 고려해 국민 60% 이상 접종을 위한 2단계 백신 구매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COVAX 퍼실리티는 21년 말까지 전 인구의 20%까지 백신 균등 공급을 목표로 ㅔ계보건기구, 감염병혁신연합, 세계백신면역연합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 다국가 연합체를 의미한다. 코로나19 조기 극복을 위한 전세계 차원의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중이다. 이를 위해 선구매 계약을 위한 비용 1723억 원을 질병관리청에서 집행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한 정부는 퍼실리티 참여를 통해 1000만 명분의 백신부터 확보할 계획이다. 백신 가격은 추후 제공되는 백신 종류에 따라 변동되며 선입금 등을 고려해 정산 절차를 거치게 된다. COVAX 퍼실리티 참여를 위해 정부는 지난달 31일 백신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세계백신면역연합에 가입의향확인서를 제출했다. 향후 법적 구속력있는 확정서를 오는 18일까지 제출하고 선입금 납부 등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외에도 정부는 임상시험 동향 등을 고려해 글로벌 기업과의 협상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2000만 명 분의 백신을 선구매하는 방식으로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선구매 백신은 안전성, 유효성 검토 결과, 가격, 플랫폼, 공급 시기 등을 고려해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결정하게 된다. 한편 정부는 글로벌 개발 백신 구매 추진과 별도로 국내 기업의 백신 개발지원 대책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국내 백신개발기업인 3개사에 대한 임상시험 비용 지원 계획을 지난달 18일 발표한 데 이어 임상환자 모집 등 임상 과정에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국가 감염병 임상시험지원센터를 구축한다. 또한 기업애로사항해소센터를 운영해 애로사항을 상시,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지난 5월 6일 이후 52개 기업에 심층 상담을 실시해 216건 애로 사항 중 135건을 해결하고 81건을 조치하는 중에 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범정부적 역량을 동원해 안전하고 성공 가능성 높은 백신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산 백신 개발도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