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19 이후 팬데믹을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7일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사무총장은 뉴스 브리핑을 통해 다음 팬데믹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각 나라마다 공중보건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한 셈이다.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코로나19 첫 감염자가 발생한 이래 지난 7일 기준 전세계 2720만 943명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다. 또한 88만 9842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테드로스 사무총장은 “팬데믹이 이번이 마지막은아닐 것”이라며 “역사는 감염병 발생과 팬데믹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 팬데믹이 올 때에는 세계가 대처할 준비가 돼 있는게 좋다”며 “이번 팬데믹보다 더 많은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몇 년간 많은 나라가 의학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기본적인 공중보건 시스템은 등한시해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공중보건시스템은 감염병에 잘 대응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만큼 이를 소홀히 여겨서는 안된다는 설명이다.
현재 많은 나라가 코로나19 대응만으로도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 일어날 상황에 대한 대비도 함께 해나가야 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세계보건기구 소속 전문가는 코로나19가 확산 양상이나 잠잠해지는 소강 상태를 보이는 것과 관계없이 현 상태에 안주하고 있을 상황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 사무차장은 “감염병은 다시 터질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며 “산발적인 발생은 언제든 집단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다른 국가도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스페인의 경우 코로나19가 다시 기승을 부려 누적 환자가 5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