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이 질병에 면역이 될 때까지 통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전염병연구센터에서 작성한 이 연구 보고서는 각국이 향후 2년에 걸쳐 코로나19의 정기적인 발발에 대비해야 한다는 결론을 가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 연구 보고가 코로나19 통제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유 중에는 증상을 보이지 않는 사람이 가장 감염성이 높을 수 있다는 이론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이 2022년까지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관계자들이 보내는 위험성 메시지는 이 전염병이 곧 끝나지 않을 것이다”며 “사람들이 앞으로 2년간 주기적으로 질병이 재발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입증된 치료제나 백신 또는 치료법이 없다면 정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제한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코로나19는 전염성이 높고 나이 든 사람과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가장 위험한 것으로 봤다.
미국 보건 당국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의 일환인 자택 격리가 예상보다 낮은 코로나19 감염률을 가져온 것으로 봤다. 하지만 다른 많은 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도 조치를 철폐하고 개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3천여만 명의 미국인이 봉쇄가 시작된 이래로 실업수당을 신청했다. 일부 기업주는 회사 문을 열기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뒤늦게 올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인 앤서니 파우치 박사는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전 세계가 코로나19 발발 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나마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방역 단계로 내려감에 따라 서서히 일상으로 복귀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처럼 마스크 없이 생활할 수 없다. 생활방역 단계에서도 여전히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씻기를 생활화해야 한다고 질병관리본부는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