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를 담당한 의료진으로 구성된 중앙임상위원에서 23일 온라인 기자회견을 가졌다.오명돈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23일 열린 ‘코로나19 팬데믹의 이해와 대응전략’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걱정이 많지만, 80%는 가볍게 앓고 끝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만약 환자의 증상에 폐렴이 있더라도 병원에 입원해서 산소치료를 하고 증상을 안정시키면 다른 폐렴보다도 더 (쉽게) 호전될 수 있다는 소견도 전했다.가령 에크모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도 1∼2주 정도 이를 보전하는 치료를 받으면 항바이러스제의 힘이 아니더라도 자체적인 면역력 증강을 통해 회복하고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임상위원회는 코로나19 환자의 상태가 중증으로 악화하는 분기점이 평균 7일 이후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우리나라와 중국 자료를 보면 (환자는 증상이 발현되는 데) 대개 2∼10일, 평균 7일은 경증이지만, 이후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기도 한다”며 “이 경우 환자는 증상 발현 15일을 전후해 사망하는데, 이는 평균적인 수치고 빠르면 5일, 늦으면 40일 만에 사망하기도 한다”고 말했다.방 센터장은 또한 “다만 코로나19에 한 번 걸린 인체가 평생 면역력을 갖는지, 다시 감염될 수 있는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문제”라며 “항체는 시간이 지나면 점점 줄어들고, 바이러스는 변이되기 때문에 재감염이 될 수 있다”고도정리했다.현재 코로나19는 뚜렷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 때문에 현재 의료계에서는 코로나19 감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증상을 완화하여 자가면역력의 힘을 강화하는 대증 치료를 하거나 기존에 에이즈, 에볼라 등의 치료에 쓰던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식으로 치료하고 있다.코로나19 감염병의 향후 전개에 대한 의견도 이번에 제시되었다. 오 센터장은 200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 독감의 예시를 들며, “바로 그 스페인 독감이 1918년 봄에 있었던 1차 유행보다 그 해 가을철에 5배 더 큰 2차 재난으로 온 역사가 있는데, 지금 추세대로라면, 가을철에 지금보다 더 큰 코로나 유행이 다시 찾아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한편, 이러한 각종 어려움 속에서 인체 임상 실험이 가능한 수준의 코로나19 치료제가 빠르면 오는 7월 안에 국내 기업의 손 안에서 탄생할 수도 있다는 소식이 들려 화제다.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23일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열고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체 후보군 구축 및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300종 확보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일반 항체 치료제 신약 개발의 경우 항체 후보군 구축 등의 단계에 이르기까지 평균 3~6개월이 걸리지만, 이번 신약 개발에는 “셀트리온 연구개발진이 24시간 교대 근무체제로 투입, 3주만에 전격적인 성과를 낼 수 있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분석이다.셀트리온은 이와 관련,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빠르면 오늘 7월 말부터 인체 투여가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노력을 가속화하겠다고 전했다.서 회장은 이날 간담회를 통해 “이런 팬데믹 상황에서는 이 바이러스가 언제 종식되느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빨리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느냐”라고 정의하며, “팬데믹 바이러스는 남반구, 북반구로 돌아가면서 확산될 수있다”고도 경고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언제 종식될지보다 중요한 것은 이게 조기 종식되지 않았을 때나 재감염됐을 때에 대비하는 것이기에, 국가와 전세계 기여하기 위해 예방적 차원에서라도 끝까지 투자하겠다고도 전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