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증상 중 기침, 발열, 후각 상실 등이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았던 피부과적 증상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수두, 홍역 등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피부에 발진 등이 생긴다.
신체 면역 체계가 감염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염증 반응이다. 미국 주간지 ‘타임’은 코로나19도 유사한 피부과적 증상을 동반한다는 임상 사례들이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3월 말 이탈리아 의료진은 롬바르디 지역의 코로나19 환자 88명 가운데 20%에 피부과적 증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이 증상은 상반신에서 붉은 두드러기가 나타난 것으로 일부는 수두와 유사한 물집이 잡히기도 했다. 4월 초 프랑스 피부과 의사 단체는 코로나19 환자 중 상당수가 두드러기 증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그중일부는 동상에 걸린 것과 유사한 병변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의료진은 미국 피부과 학회에 흔치 않은 경우지만 수두와 유사한 발진은 코로나19의 피부과적 징후라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도 이른바 코로나 발가락으로 불리는 증상이 보고됐다. 마치 동상에 걸린 듯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붉게 변하며 붓는 증상이다. 이는 프랑스와 비슷한 사례로 100건 넘게 보고됐다.
뉴욕대학교 의대 엘리사 페미아 박사는 최근 원격진료에서 코로나 발가락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밝혔다. 대부분 발열 등 집중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증상은 없는 사람이었다.
증상이 나타난 사람 중 일부는 코로나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기도 했다. 바이러스와 피부 증상의 인과관계에 대해서 현 단계에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그러나 페미아 박사는 무증상이거나 경증인 일부 환자들이 음성 판정을 받고 나서야 뒤늦게 코로나 발가락 증상이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따라서 지금은 피부과적 증상이 나타났다면 일단 코로나19를 의심하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4월 초 학술지인 트랜스레이셔널 리서치에 실린 예비 연구는 코로나19 환자에게 나타나는 피부과적 증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환자에게 나타나는 발진 등 피부 증상은 혈전으로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겼음을 암시할 수 있다.
작은 혈전이 피부에 문제를 일으켰다면 신장, 간 등 다른 장기에도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과적 증상이 일어났다면 지체말고 진료를 받는게 좋다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