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재난안전포털은 승강기 안전사고와 관련해 국민행동요령을 밝혔다. 엘리베이터의 경우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렸다. 엘리베이터 내에 부착된 유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또한 탑승정원이나 적재하중 초과는 고장과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조작반의 인터폰, 비상정지스위치 등을 장난으로 조작해서는 안된다. 버튼을 불필요하게 누르거나 난폭하게 다루지 않아야 한다.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 내에서 뛰거나 심한 장난을 하지 않아야 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을 흔들거나 손으로 밀지 말아야 하며 출입문에 기대지 않는게 좋다. 정전으로 엘리베이터가 멈추거나 실내등이 꺼지면 침착하게 인터폰으로 연락해야 한다. 엘리베이터가 도중에 정지하면 임의로 탈출하지 말고 인터폰으로 구조 요청해야 한다. 비상환기구는 탈출구가 아니기 때문에 열지 않아야 한다. 구조 요청해 구출되는 경우 구조요원의 안내에 따르는 것이 좋다. 엘리베이터 내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않아야 한다. 또한 굉음이 들리거나 진동이 있으면 인터폰으로 연락하는 것이 좋다.   어린이나 노약자는 가급적 보호자와 함께 탑승해야 한다. 애완동물은 안고 탑승하는 것이 좋다. 지정된 용도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행위는 하지 말아야 한다. 출입문의 문턱 틈이나 문 사이에 이물질을 버리지 않아야 한다. 관리자의 입회, 허락 없이 크거나 무거운 화물을 무단으로 싣지 않는게 좋다. 만약 엘리베이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빌딩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는 안된다. 반드시 계단을 이용해 피난해야 안전하다. 빌딩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는 지상 층으로 불러들여 문을 닫고 정지시키는 것이 좋다. 엘리베이터 수직통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가까운 층에 내린 후 관리실에 즉시 연락해야 한다. 지진 시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경우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 중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려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엘리베이터는 재난 시 이용하지 않는게 좋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 장난을 치지 않고 이용해야 한다. 혹여라도 문제가 발견된다면 관리실로 연락해 안전점검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