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27일 여름철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에어컨 안전점검에 적극 동참할 것을 권했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에어컨과 관련된 화재는 692건이다. 인명피해는 사망 4명, 부상 25명 등 29명이다. 에어컨 화재의 71%(493건)가 무덥고 습한 날씨로 사용이 많은 여름철에 집중 발생하고 있다. 화재 원인은 누전이나 합선 등 전기적 요인이 73%(503건)으로 가장 많고 부주의 10%(66건), 기계적 요인 9%(61건)순이다.  무더운 여름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려면 가동 전 에어컨과 실외기의 전선이 벗겨지거나 훼손된 곳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에어컨은 전력소모가 많아 과열되기 쉽다. 따라서 멀티탭이 아니라 전용 단독 콘센트를 사용해야 한다. 실외기 등에 쌓인 먼지로 인해 모터 등이 과열돼 불이 날 수 있다. 실외기 사용 전에는 반드시 청소해야 한다. 실외기는 밀폐되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벽면과 최소 10cm 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한다. 또한 배수호수 누수 점검도 필요하다. 꺾임이 있거나 이물로 인한 막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끝부분 하향을 유지하고 있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운전버튼을 눌러 20분 시험 가동을 통해 냉방 성능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이사 등으로 실외기를 옮길 때는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전문가를 통해 설치하고 점검받아야 한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소비자원은 에어컨 제조사와 협력해 다음달 4일부터 29일까지 에어컨 사전 안전점검 참여 운동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서 에어컨 자가 점검 요령을 참고해 스스로 점검하는 것이 좋다. 자가 점검 후에도 에어컨에 이상이 있거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면 제조사의 안전점검을 받는게 좋다.  점검은 에어컨 제조사에 예약해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에어컨의 기본적인 안전 사항을 비롯한 배선 상태와 냉방성능 등을 종합해 점검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사전 예약은 제조사 대표번호와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