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폐질환(COPD)이 있으면 담배를 피우지 않아도 폐암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흉부 최근호에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권오정, 박혜윤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논문을 게재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에서 폐암 발병 이력이 없는 40세 이상 84세 이하 33만 8548명을 대상으로 평균 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다. 연구팀은 추적 관찰 중 확인된 폐암 발병 사례는 모두 1834건으로 나타났다.
COPD 환자의 폐암 발병 위험은 비 COPD 환자에 비해 3.12배 높았다. 폐암을 일으키는 대표적 위험 요인인 흡연력을 따로 떼어놓고 봐도 마찬가지다. 흡연 경험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 COPD가 폐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COPD 환자의 폐암 발병 위험은 2.67배 높았다.
COPD가 폐암의 주요 발병 인자라는 결과가 나왔다. 많게는 COPD 환자 3분의 1 이상이 비흡연자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담배를 태우지 않더라도 COPD 환자는 폐암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COPD 환자를 폐암 검진 대상자에 포함시킬 수 있을지 가려내기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는 만 54~74세 남녀 중 고위험군인 30갑년 이상 흡연자를 대상으로 국가암검진에서 폐암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연구팀은 “COPD로 폐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폐암까지 겹치면 치료에 여러 제약이 뒤따른다”며 “합병증 발생 위험도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기 검진을 통해 폐암을 발견할 수 있으면 COPD 폐암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만성폐쇄성질환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을 말한다. 또한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만성 염증은 소기도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개형 및 폐쇄를 일으킨다.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폐 파괴로 폐포가 소기도에 붙어있지 못하기도 한다. 폐 탄성의 감소가 동반돼 결과적으로 호기 시 소기도의 내경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해 기류 제한이 발생한다. 염증이 오랫동안 지속된 경우 기관지 벽이 두꺼워진다.
점액분비가 늘어나거나 폐포가 얇아지고 늘어나 숨을 내쉴 때 공기가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해 호흡곤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만성폐쇄폐질환은 폐 기능이 50% 이상 손실되기 전까지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초기 진단이 어렵다는 것이다. 일단 증상이 나타나면 급속히 악화되고 어떠한 약물 치료도 폐기능을 호전시킬 수 없다.
특히 한 번 손상된 폐 기능은 다시는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병의 악화를 막는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