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는 지난 3월 6일 제8기 성동적정기술연구회 출범에 따른 오리엔테이션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성동적정기술연구회’는 최적의 기술을 접목하여 최소 비용으로 자원을 절감하며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적정기술’을 연구하는 학술동아리이다. 이 연구회는 2019년 제1기를 시작으로 올해 제8기를 맞이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적정기술을 행정에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포용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번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연구회 및 성동구 스마트 정책 소개, 직원들의 인공지능(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챗지피티(ChatGPT) 활용 스마트 행정`에 대한 주제로 챗지피티(ChatGPT) 프롬프트 실습 특강이 진행됐다.향후 연구회의 운영 방식은 외국 우수사례 조사, 아이디어 제안, 적정기술 발굴 및 접목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3개 분과로 구분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고 논의한다. 이와 함께 연구회 운영 시 온라인 활동 활성화를 위해 단톡방 개설로 회원 간 소통을 강화하며 특히, 올해는 회원들을 인공지능(AI) 핵심 인재로 양성하기 위하여 챗지피티(ChatGPT) 유료 버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그동안 단순한 상상과 의견으로 사장될 수도 있었던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성동적정기술연구회를 통해 생활 속 불편 해결과 구민들의 편리한 일상을 열어주는 적정기술로 거듭나 성동구의 자부심을 드높인 ‘성동형 적정기술’ 사업들이 있다.대표적인 사례로는 성동구에서 최초 도입한 큐알(QR)코드 기반의 `성동형 모바일 전자정부`, 구 홈페이지를 통해 방문민원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민원 대기현황 안내서비스`, 주민들의 안전한 휴식처 `성동형 스마트 쉼터`, 주민의 안전을 생각하는 `성동형 스마트 횡단보도`, 빗물감지센터를 이용한 자동개폐시스템 `성동형 스마트 빗물받이`, 범죄 예방을 위한 ‘산책로 범죄예방시스템’ 등이 있다.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제8기 성동적정기술연구회 회원들의 당찬 포부와 함께 성동구를 더 발전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희망한다˝라며 “직원들의 고민과 연구들이 성동구 생활 속 불편 사항을 개선하여 모두가 함께 편리한 일상을 누리는 스마트포용도시 성동을 구현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