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이 드문 시간 갑작스런 폭우가 내려 둔치가 침수되는 수위 이상으로 하선 수위가 상승하면, 서울 시내 27개 ‘하천 예·경보시설`에서 경보음과 안내 방송이 실시간으로 나와 하천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진다.서울시가 여름철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변 고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최첨단 예·경보시설’과 ‘진출입차단시설’ 등을 설치·운영한다고 밝혔다. 하천수위를 예측하고 출입을 통제하는 시설들이 산책로에 배치되어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하천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목표다.서울시는 27개 하천에 예?경보시설 177개소, 문자전광판 56개소, CCTV 704개소와 하천 출입로 1,231개소 중 진·출입 차단시설 989개소를 확충해 왔다.우선 ‘최첨단 예·경보시설’을 통하여 하천고립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하천 산책로의 침수를 미리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수위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하천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스마트폰으로 수위정보가 전달되고 동시에 하천산책로에 실시간으로 경보와 음성 안내로 이어지는 시스템이다.최첨단 예·경보시설은 강우량과 하천수위 변화에 따라 단계별로 음성 발령과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며 스마트폰 어플로 언제, 어디서든지 경보와 음성안내가 가능하도록 접목 하였다.또한 시는 기존 진·출입로 989곳에 설치·운영 중인 ‘하천출입차단시설’을 오는 7월까지 묵동천, 우이천, 탄천 등 7개 하천 83곳에 추가 설치하여 하천 내 고립사고를 원천 방어한다는 계획이다.감시기능이 추가된 하천 출입 차단시설에는 시각· 청각적 경보를 통하여 위험정보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물리적 차단이 원격으로 진행되어 하천 출입에 대한 신속한 통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서울시는 올해 도림천 등에 1억 8천만 원을 투입하여 자동경보시설 4개소를 확충하고, 고립사고가 빈번하였던 도림천에 로그라이트 4개소를 시범 설치하는 등 하천 고립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기로 하였다.도림천의 경우 2012년 이후 하천 고립사고가 28회 발생하여 총 142명이 고립되었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고립사고가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여 왔다. 이에 예방 시설물 추가설치가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