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의 접종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주식시장은 저온유통 기술인 콜드체인 관련 주들이 주목받고 있다.
아무래도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은 mRNA 백신으로 각기 영하 70도와 영하 20도 등 초저온 환경에서 보관 유통돼야 한다. 기온이 올라가면 변질될 우려가 있다.
정부는 전국 코로나 백신 접종센터를 구축하면서도 콜드체인 유지방안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 방역당국은 전담업체를 통해 백신별로 맞춤형 콜드체인 관리체계를 만들고 온도 유지와 배송 경로 등 실시간 추적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가을 국내에서는 독감 백신의 상온노출 논란으로 인해 백신 관리 문제가 불거진 바 있다. 코로나 백신 접종에 돌입한 세계 각국의 공중보건 당국은 현재 콜드체인 유지에 차질이 없도록 관심을 쏟고 있다. 그렇다면 왜 콜드체인일까.
의료 정보 사이트 프리벤션닷컴은 그 이유에 대해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표현한다. 코로나 백신을 하루라도 빨리 개발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백신을 더 높은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할 여유가 없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백신 전문가도 놀랄 정도로 코로나 백신 개발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이뤄졌다. 그러나 백신의 운송과 저장은 비용과 품이 많이 들어가는 또 다른 도전이다. 모더나와 화이자가 긴급사용허가를 받은 백신은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모든 단계에서 콜드체인을 유지하지 않으면 특정 요소가 분해돼 백신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초저온 저장온도를 갖춰야 하는 것은 안정성을 위해서라도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감염병 전문의 겸 백신 전문가 카와르 탈라트 박사는 “초저온 저장온도는 화이자와 모데나 백신 mRNA 기술의 결과물이다”며 “이런 종류의 백신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낮은 온도가 유지될 때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일단 백신이 개발되면 안정성 테스트를 거친다. 그리고 백신을 개발한 최초의 온도보다 조금씩 높은 온도에 저장해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조정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두 회사의 코로나 백신은 지금보다 온도를 높인 상태에서 철저한 안정성 테스트를 마칠 수 있을 만큼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다.
시간상 이점을 가졌던 다른 회사의 코로나 백신은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 같은 저온 동결이 아니라 기존 방식의 저온 유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