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이명 증상을 더 악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앵글리아러스킨 대학교 연구팀이 48개국의 이명 환자 31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코로나19 증상을 보인 확진자 중 40%에서 이명 증상이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연구가 대부분 이명을 겪고 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일부에서는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나면서 이명이 시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귀울림은 생리적 현상에서는 보통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외부의 소리 자극없이 소리를 느낄 때를 말한다. 이명은 귀 질환의 중요한 증상 중 하나다. 귀 질환의 단독 혹은 조기 증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많은 예에서 이명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불분명하나 귀속 및 그 중추 경로에의 이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의 음질은 단순한 소리로 표현되며 금속성 음, 물 흐르는 소리, 모터 소리 혹은 곤충 울음 소리 등이 많으며 지속성인 경우와 단속성인 경우가 있다. 이명이 있는 사람은 삶의 질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불안이나 우울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연구는 영국의 경우 연구 대상자의 46%가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 생활방식의 변화가 이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는 29%에 달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불안증과 외로움이 증가하고 있다”며 “일상생활에 변화가 오면서 귀 건강 상태에서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명이 심한 경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어폰이나 헤드폰 볼륨을 높여 듣지 않아야 한다. 경기장, 공사장 등 큰 소리가 나는 환경에 자주 노출돼도 마찬가지다. 소음이 큰 공간과는 가급적 거리를 두고 지내야 한다. 하지만 이 같은 환경에 불가피하게 노출될 수 밖에 없다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귀마개를 꼭 착용해야 한다. 스마트폰 보급 이후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보는 인구가 늘면서 소음성 난청도 늘어나고 있다. 85 데시벨 이상의 이어폰 볼륨에 지속적으로 노출돼도 귀건강이 좋지 않다. 난청에 이르면 높은 톤의 소리부터 서서히 안 들리기 시작해 이명증이 생기기도 한다. 약을 복용하는 것도 이명을 완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서 이명이 심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빨리 의료진을 찾는게 좋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