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바이러스가 손 표면에서 9시간까지 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3일 국제의학저널 임상전염병에 실린 일본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해당 내용을 발표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가 주를 이뤘다. 바이러스가 묻은 손으로 코나 입 등을 만지는 과정에서 감염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손 표면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생존할까. 또한 손 소독제의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이번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인 사스-코브-2와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생존기간과 80% 에탄올 손소독제의 효과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실험 결과 사람의 피부 표면보다는 스테인리스 스틸, 유리, 플라스틱과 같은 표면에서 사스-코브-2와 A형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보다 오래 생존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사람의 피부 표면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1.82시간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이보다 훨씬 긴 9.04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는 결과도 확인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손이나 환경 내에서 오래 생존한다. 독감보다 코로나19 전염력이 빠른 것도 생존시간이 길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80% 에탄올 손소독제를 처리했을 경우 15초 이내에 바이러스가 활성화되지 않는 점도 확인했다. 손을 30초 동안 씻거나 손소독제를 30초 정도 비벼 사용하라는 권고 내용이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이번 연구에서 코로나19에 오염된 손 피부는 사체 피부 샘플을 이용해 진행했다. 살아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묻혀 실험할 수 없기 떄문이다. 사체의 피부 샘플을 배지가 담긴 글라스에 올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오염시켜 생존시간과 소독 효과 등을 살폈다.
피부 샘플은 실제 살아 있는 사람의 피부와 차이가 있는 것일까. 연구팀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이용 지원자 6며의 손과 시험관 생체 피부모델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살아 있는 사람의 피부와 피부 샘플의 효과가 비슷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결국 이번 연구도 실제 사람의 피부에 바이러스를 적용했을 때와 큰 오차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