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인뉴스=최정민기자] 이더리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시작된 10억 달러 규모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인 오미세고의 설립자이자 CEO인 준 하세가와는 향후 2년 동안 이더리움의 미래와 그 성장의 로드맵에 대해 설명했다.
지난해 이더리움과 공공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모두에 대한 추측의 해였다. ICO 및 토큰 판매는 분기당 수십억 달러를 기록해 승인된 투자자 및 벤처 캐피털 회사에서 발생시킨 암호 해독 및 블록체인 공간의 금액을 초과했다.
암호화폐 산업에서의 높은 수준의 추측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및 다른 모든 주요 디지털 자산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한데서 밝혀졌다. 지난 해 이래로 천문학적인 수치가 증가했다. 가령 이더리움의 원시 암호화폐 프로토콜은 12개월 동안 10달러에서 1500달러까지 150배 증가했다.
지난해 말 암호화 자산의 대규모 집결에 이어 암호화폐 시장에서 3번째로 큰 수정이 이뤄졌으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리플 및 기타 암호화폐가 70-90%를 잃었다.
하세가와는 여전히 진행중인 수정 작업으로 인해 시장 및 개발자들이 제품 및 스케일링 솔루션을 구축하여 다음 집회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언급했다.
지난 해 11월 작년부터 오미세고에 조언한 이더리움 공동 창작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전통적인 금융 부문 및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입증하지 않으면 암호화폐의 5천억 달러 시가 총액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테린은 “총 암호화코인 시가 총액은 오늘 0.5T 달러를 기록했다”며 “그러나 우리는 실제로 재미있는 일을 하는 스마트 계약서에 얼마나 많은 가치가 저장돼 있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분명히 제로가 아니며 어떤 경우에는 상당히 중요하다”며 “그러나 0.5T 수준의 중요성을 말할 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 이후로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블록 체인 기술을 확장하고 암호화폐의 적용 가능성을 개선하는데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하세가와는 2018년이 생태계 구축의 해였다고 말하면서 쉐딩, 캐스퍼, 플라즈마 및 인터체인 프로토콜 개발에 진전을 이뤘다.
이 프로토콜은 수십만 건의 트랜잭션을 초당 백만 건의 트랜잭션으로 처리하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하세가와는 향후 2년 동안 2019년과 2020년에 걸쳐 이더리움이 실제 비즈니스 채택, 더 큰 규모의 분산 애플리케이션, 막대한 규모 조정 및 정부의 채택을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