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유엔의 기밀 보고서는 북한이 암호화폐 거래소와 주류 금융기관을 해킹함으로써 약 20억 달러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은둔 왕국은 도난당한 자금을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북한 체재위원회를 위해 준비된 보고서는 지난 6개월 동안 상황을 모니터링해 온 독립적인 전문가들에 의해 작성됐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북한의 많은 사이버 공격자들은 대량 살상 프로그램의 무기를 위해 돈을 모으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북한의 정보기관인 정찰 총국의 지시에 따라 행동했다. 국가 후원 행위자는 사이버 공간을 사용해 금융 기관과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자금을 훔쳐 소득을 창출하기 위해 점점 더 정교해지는 공격을 시작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북한의 국가 후원 행위자가 약 17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와 은행을 공격하는데 관여한 최소 35건의 사례가 조사되고 있다. 독립 전문가들은 또한 북한이 무기 프로그램을 위한 수입을 창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암호화폐 채굴에 참여했다고 믿고 있다. 현재 북한은 대량 살상 무기를 보유하고 있어 미네랄 및 수산물 수출이 금지돼 있다. 북한이 경제 제재를 피하기 위해 암호 화폐로 돌렸다는 비난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은 불량 국가의 사악한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금액이 10억 달러를 초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3월, 북한은 주로 국가가 후원하는 복장을 사용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해킹함으로써 약 6억5천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축적했다고 보고됐다. 지난해 10월 사이버 보안 회사인 파이어아이는 주 정부 후원 복장을 APT 38로 식별했다. 당시 파이어아이는 나사로 그룹으로 알려진 더 유명한 사이버 범죄 복장이 사이버 간첩 활동에 주로 참여했으며 암호화폐 거래 및 은행을 해킹하지 않았음을 지적했다. 북한이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으로 인해 20억 달러를 훔쳤고 은행이 전적으로 APT 38에 기인한 경우 상대적으로 모호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성공 여부는 주로 양식 운영에 달려 있다. 파이어 아이에 따라 APT 38은 긴 게임을 하며 무자비하게 효율적이다. 또한 사이버 범죄 조직은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공격을 시작한 후에 이 그룹은 손상된 시스템을 완전히 파괴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조사를 저지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에 종사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