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에 대한 지나친 경계심이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아무래도 통통한 과체중이 2010년 전후로 건강에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오히려 강박적인 다이어트에 대해 지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시니어라고 해서 피할 수 없는 노릇이다. 특히 젊게 입고 관리하는데 초점이 맞춰지다 보니 과도하게 체중 관리 등을 생각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그러다 보니 표준 체중 범위를 조금만 벗어나도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하지만 오히려 약간의 과체중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심부전이나 당뇨 등에 걸렸을 경우 과체중인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오래 산다는 것이다. 뇌경색이 온 경우에도 증상이 가볍다. 아무래도 과체중이 되면 혈관을 돕는 호르몬을 더 많이 분비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에 예민하지 않고 평온한 삶을 살 수 있다. 다만 과체중에 대해서 단순히 살이 쪄야 한다는 식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과체중 정도와 비만은 전혀 다른 것이다. k라서 이러한 부분은 구분을 통해 건강관리에 집중하는게 좋다. 너무 마르거나 뚱뚱하지만 않으면 건강에 큰 이상이 없다. 오히려 더 좋은 양상을 보인다. 다만 한 가지 조심해야 하는 것은 내장비만이다. 겉으로는 단순 과체중일지 모르지만 내장 지방이 가득하다면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습관부터 시작해서 자신의 체중을 관리하되 강박을 갖지 않도록 하는게 좋다. 복부 비만 등은 피해야 하며 오히려 건강에 적신호가 올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과체중이라고 하면 유지에 더욱 신경을 쓰는게 건강에 좋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